인사노무 수강후기

모바일 바다이야기 ㅫ 오션파라 다이스7 ㅫ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염원휘리 작성일25-03-02 댓글0건

본문

릴게임신천지사이트 ◇ 릴게임손오공하는법 ◇♠ 16.rka371.top △솥에 지은 질경이밥. 질경이에 따로 간을 하지 않아 밥알에 스며든 향이 더욱 잘 느껴진다.


꽁꽁 언 땅이 녹고 얼음 아래로 강물이 흐르니, 뚜렷한 사계절이 새삼 신비롭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산 따라 물 따라 산해진미를 찾아 먹는 것도 계절의 변화를 몸소 느끼는 방법. 경칩이 코앞인 이맘때, 강원 인제에선 땅의 양분을 듬뿍 머금은 산나물이 움트기 시작한다. 흙이 있는 곳이면 다 자란다는 질경이도 그중 하나다. 특히 ‘질경이밥’은 향긋하고도 꾸밈없는 인제의 향토음식이다.
질경이는 사람이나 차가 다니는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에 바짝 붙은 잎이 방사형으로 퍼져 자라는 모습이 민들레 같기도 하다. 길쭉하니 시금치 학자금당일대출 를 닮은 잎 사이로 단단한 꽃대가 올라오는데, 누군가는 어릴 적 친구들과 이 꽃대를 하나씩 뽑아 서로 엇갈리게 걸고 당겨 상대방 꽃대를 끊으며 놀던 것도 기억날 테다. 질경이란 이름은 사람이나 수레에 밟혀도 끈질기게 살아남는 질긴 목숨을 가졌다 해 붙었다고 전해진다. 길가에 자란다고 ‘길경이’라고도 하고, 수레바퀴 자국 속에서도 번식한다고 한자로 ‘차전초( 인천개인회생전문 車前草)’라고도 한다. 밟혀도 살아남는 질긴 생명이라….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자라는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고 대견하기도 하다.
인제에선 질경이를 여기저기 유용하게 써왔다. 봄에 올라온 어린잎으로 국을 끓이고 반찬으로 해 먹거나, 살짝 데쳤다가 묵나물로 오래 먹었다. 약재로도 요긴하게 썼다. 잎보다는 씨앗(한방에서는 질경이 씨앗을 ‘차 차량유지비양식 전자’라 한다)을 쓰는데, 볶아서 기름을 내거나 차로 끓여 먹었다. 조선시대 한의학서 ‘동의보감’엔 질경이 씨앗에 대해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눈의 충혈을 없앤다”고 기록하고 있다. 잎도 차로 달여 먹으면 지혈과 간 기능 강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이바보
질경이밥에 곁들인 16가지 산나물과 더덕·황태구이·청국장 등 인제의 진미가 밥상 위에 모였다.


흔하디흔한 질경이라지만, 먹을 게 귀하던 시절엔 목숨줄 같은 먹거리가 아니었을까. 실제로 강원지역에선 춘궁기가 오면 겨우내 묵혀둔 질경이로 밥을 지어 양을 불렸다. 사실 농협주택담보 밥이라고 하기 어려울 정도로 쌀은 얼마 없고 질경이나물이 한솥 차지했다. 지금은 옛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별미이자 건강식으로 여겨진다. 세상이 좋아져 어디서든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한 질경이를 사시사철 즐길 수 있지만, 야생 질경이로 지은 질경이밥을 맛보려면 인제로 가야 한다. 인제터미널에서 산길을 따라 차로 10여분. 아찔하게 가파른 언덕에 자리한 식당 ‘산채촌’에선 야생 산나물을 다양하게 내놓는다. 식당 사장 백춘기(75)·한기숙씨(70) 부부는 한겨울 빼곤 매일 새벽 4시에 산나물을 캐러 길을 나선다.
“산뿐인가요. 밭과 들에도 가요. 산마다 자라는 약초가 다 다르거든요. 다 푸른 잡초처럼 보여도 이름도 효능도 가지각색이에요. 아는 사람만 보이는 비밀이죠. 하하.”
매일 바뀌는 날씨를 이겨낸 야생 질경이는 향과 색이 진하다. 백 사장은 질경이는 사람이 다니는 길에 핀 것은 먹지 말라고 이른다. 잡초로 여겨 약을 치기 때문이다. 그는 사람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손가락 세 마디 길이로 자란 것만 채취한다. 더 자라면 질겨서 먹기 힘들다. 3월엔 달래, 4월 중순엔 삼나물 등 봄은 나물의 계절인데 질경이 채취 시기는 언제인지 궁금해진다. 백 사장은 “산에 나는 것은 정확한 시기를 따질 수 없다”며 “햇볕이 얼마나 잘 드는지, 날씨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따라 천차만별로 자라니 봄나물이 생각날 때쯤 캐다가 먹으면 된다”고 답했다.
‘산채촌’의 질경이정식엔 살짝 데친 질경이를 불린 쌀 위에 한가득 올려 지은 질경이밥과 삿갓나물·땅두릅·부지깽이나물·개두릅·미역취·산에고추나물·단풍취·당귀·머위 등 16가지 산나물이 함께 나온다. 황태구이와 더덕구이, 그리고 청국장까지 더해지니 말 그대로 강원지역 밥상 완성이다. 질경이밥 솥뚜껑을 열면 질경이 향을 머금은 하얀 김이 폴폴 난다. 언뜻 곤드레밥과 닮았다. 흰 쌀밥을 덮고 있는 질경이를 주걱으로 슥슥 섞어준 뒤 밥그릇에 덜어놓는다. 질경이밥만 먼저 먹어본다. 질경이에 따로 간을 하지 않아 구수함과 향긋함만 느껴지는 순한 맛이다. 거칠 것 같다는 예상과 달리 식감은 아주 연하다. 밥에 달래장을 넣고 비빈 후 들기름과 소금으로만 간을 한 각종 산나물을 하나씩 얹어 한술 한술 먹다보면 그릇을 금세 비운다. 솥에 물을 부어 만든 숭늉으로 마무리한다. 물에 질경이 향이 은은하게 배어 차를 마시는 듯하다.
산도 들도 푸르게 옷을 갈아입고 있다. 질경이밥 한상으로 봄이 왔음을 한껏 느껴보자.